유용한정보

눈이 자꾸 가려울때 알레르기 결막염? 눈병? 어느게 맞지??

Indego 2018. 4. 20. 18:32


아들이 요 몇일 눈이 자주 충혈되서 안과를 다녀왔어요. 새학년이 되서 많이 피곤하나보다 했는데 토기눈처럼 빨게지기도 하고 눈물도 있어서 눈병에 걸렸나 했는데, 눈병은 아니고 알레르기 결막염이라고 하드라구요. 아들은 비록 아프겠지만, 일단 전염이 안되는거라는 진단을 받아서 다행이기도 하고..

안과를 다녀오고 나서 가만히 생각을 해보니 지난병 눈병이 유행할때가 생각나드라구요. 밤 늦게 게임을 하는 아들이다보니 눈병은 생각도 못하고 피곤해서..결막염이가..좀 쉬면 되겠지 했는데, 학교서 눈병이 유행이였던거죠. 그래서 나도 옮고,,가족모두 눈병으로 고생을 했거든요.

이게 눈병인지 결막염인지 제대로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둘다 모두 병원을 가서 치료를 해야하는게 맞지만, 눈병의 경우 전염력이 있다보니 개인위생은 물론이고 학교에까지 전염시키면 안되니까 미리 조치를 취해야 하거든요. 그래서 몇가지 방송을 찾아보니 눈병과 알레르기 결막염에는 증상으로 알아볼수 있는 것들이 있드라구요.




알레르기 결막염 vs 눈병 구별법

알레르기 결막염과 눈병은 겉으로 보이는 증상이 비슷해서 구별하기 힘들다고 하지만, 시작하는 증상과 진행중일단 나타나는 증상들을 따져보면 금세 알수가 있어요. 알레르기 결막염의 경우는 눈꼽이 낄때 점액성으로 눈꼽이 좀 끈적끈적한 형태로 나오고, 눈병의 경우는 바이러스에 의한 것으로 눈꼽이 굉장히 노락색이 짙다고 해요.  헌데 눈꼽으로만 판단하기 어려울때는 통증이 있는지 없는지 살펴봐 주세요.

눈병의 경우는 바이러스에 의해 생기는 병이라서 통증이 같이 오는데 귀앞 림프신 쪽에 통증이 있다고 해요. 그러니 통증이 있으면 눈병, 없으면 알레르기 결막염이라고 보시면 되요.





그리고 병이 시작할때도 구별할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알레르기 결막염의 경우는 양쪽 눈이 동시에 빨갛게 되면서 시작을 하는데 반해, 눈병의 경우는 한쪽눈이 먼저 빨갛게 되고 이후 나머지 눈도 병이 진행된다고 해요.

방송을 보니 쉽게 설명을 해주서 좋더라구요. 이렇게 놓고보니 둘을 구별할수가 있겠죠? 




아들고 안약 처방을 받아왔는데, 안약이란게 보통 한번 사면 한통 다쓰기 전에 치료가 되서 남기마련인데 버리기 아깝고 냉장고에 보관하기도 했는데, 안약의 경우는 이렇게 보관을 해서 재사용하는데 되려 병을 줄수 있어서 재사용을 하지 말아야 하고, 또, 눈에 먼가 이상이 있을때 집에 있는 안약을 아무렇게나 사용하는것 역시 눈에 병을 키울수 있다고 해요. 눈의 질환이 어떤건지 정확지 알고 의사처방에 따라 용도에 맞는 안약을 넣어주는데 맞다고 해요.




안약 유통기한

안약을 처방받으면 일주일 정도 사용을 하는 편인데 언제나 절반이상 남아서 버리기는 아깝고,,그래서 여태 보관해둔 2개,, 오늘 과감히 버려버렸어요. 모든 약에는 유통기한이 있는데 보관 중이던 안약모두 유통기한을 휠씬 지난것들이더라구요.

그리고 방송을 보니 안약 유통기한을 알려주는데, 기본적으로 표기되어 있는 유통기한이 있고, 안약을 개봉한 후에는 한달정도 보관을 할수 있다고 해요.

개봉을 안한채 가지고 있다면 써도 되지만, 개봉을 한 상태라면 유통기한이 남았더라도 개봉한 시점을 기준으로 한달이 지났다면 눈 건강을 위해 과감히 버려주세요.




미용안약

눈에 큰병이 없더라도 눈이 토끼눈처럼 빨갛게 되면 미용안약을 사용하는 분이 계실꺼예요. 저도 얼마전 안건데, 미용안약을 넣어주면 충혈된 눈이 진정되서 다시 흰색으로 돌아온다고 하드라구요. 하지만 미용안약이 효과가 있지만 지속적으로 사용했을 경우에는 효과가 없고 눈이 계속 충혈될수 있으니 자제하는게 좋다고 해요.

우리의 눈이 충혈되는건 눈의 혈관이 확장되었을때 나타나는건데 미용안약은 혈관축소제로 처음에는 한번 사용을 해도 효과를 볼수 있지만, 두번 세번 넣어주면 눈에 더 자극을 줘서 토끼눈을 지속시킨다고 하니 미용안약 사용시 이런점을 한번 고려해 보는것도 좋을듯 해요.


아들이 아프면 모든 집안 행사가 스톱인걸..봄꽃 놀이도..가족위생, 건강에 좀 더 신경을 써야지 싶네요.